절 찾는 몸가짐
절을 찾을 때는 항상 정갈하고 단정한 옷차림으로 향, 초, 꽃, 과일등을 준비하여 부처님께 공양을 올린다.
일주문은 경내의 시작이 되는 곳이다.  경건한 마음가짐을 다지고 법당쪽을 향하여 공손하게 반배를 올린다. 또한 자세를 바로하고 뒷짐을 지거나 주머니에 손을 넣지 말고 신발이 끌리지 않도록 주의하며
길에서 스님이나 법우를 만나면 공손히 합장하여 인사한다.

법당출입법
절에 들어서면 먼저 법당에 들어가서 부처님전에 참배를 드려야 한다.
법당에 올라가는 계단은 되도록 좌우계단을 이용하며 법당 중앙문을 어간문이라 하는데
법당에 들어갈때에는 법당 중앙문을 피하여 좌우 측문을 이용하여야 한다.
법당의 왼쪽문으로 들어갈때는 왼쪽발을 먼저 들여 놓아야 하고 오른쪽문으로 들어갈때에는 오른쪽 발을
먼저 들여놓아야 하는데 왼쪽 오른쪽의 방향은 법당 상단의 주불로서 모셔진 부처님을 중심으로 정한다.
법당에 들어가서는 먼저 상단의 부처님을 향해서 합장하고 반배한다.
불상앞까지 합장한 자세로 나아가서 두손으로 촛불과 향을 사룬후 한발 뒤로 물러가서 반배하고 소리가
나지 않도록 발꿈치를 든채 적당한 자리에 물러나와 예배드린다.
법당 상단의 주좌를 중심으로 가운데 통로인 어간에는 절대로 위치하여서는 안되며 부득이 어간을 지날때는 합장한 자세로 허리를 굽히고 신속히 통과하도록 한다.참배를 할자리에 서게되면 부처님전에 삼배를올린다. 오체투지의 삼배를 올리기전에 반배를 먼저하고 큰절 삼배를 한다.
삼배의 마지막 절을 마치고는 고두배를 올리며 세 번째의 절을 모두 마치고는 다시 반배를 한다.
촛불을 끌때는 손으로 심지를 잡아서 끄거나 도구를 사용해야 하며 나올때는 들어갈때와 마찬가지로
합장한 자세로 법당의 옆으로 와서 부처님께 합장 반배한후 뒷걸음으로 법당문을 나온다.

합장하는 법
합장은 일심을 뜻하고 예배는 공경의 표시로서 아상과 교만심을 극복하는 수행이기도 하다.
합장은 두손바닥을 마주 합하는 자세인데 두손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켜야 한다.
특히 엄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이 따로 떨어져서는 안되며 오른손과 왼손의 손가락이 어긋난것도
올바르지 않다.  합장한 두팔은 일직선에 가깝도록 하여 손과 가슴의 간격은 주먹 하나가 들어갈정도록
유지한다.

반배하는법
합장은 고대인도에서 행하던 인사법으로 산란한 마음을 한데 모아 부처님의 마음에 합일시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불자가 삼보께 예경올리는 절은 오체투지의 큰절이 원칙이지만 장소의 사정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반배를 한다.

1) 절의 입구에서 법당을 향하여 절할때
2) 길에서 스님이나 법우를 만났을때
3) 옥외에서 불탑에 절을 할때
4) 야외 법회시
5) 옥외 법회시 대중이 많기 때문에 큰절을 올리는 것보다 반배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6) 불전에 나아가 헌화하거나, 향 초 기타의 공양물을 올리기 직전과 올린후

향 올리는 법
합장한 자세로 증상 앞까지 가서 반배하고 난 다음 향을 쥐고 성냥을 켜서 불을 붙인다.
성냥은 탁자의 선과 평행이 되도록 반듯하게 놓는다.  불 붙인 향을 오른손으로 쥐는데, 이때 새끼 손가락을 덮어서 쥔다.  불붙은 쪽이 위로 가게하여 향을 中자가 되도록 쥔다.그리고 나서 고개를 숙이면서 향을 든
두 손을 이마위로 약간 올렸다가 가슴앞 높이로 다시 내린뒤,왼손으로 떼어 오른손을 받들고 향을 꽂고
한발짝 뒤로 물러서서 반배한다.  그리고 정해진 제자리로 돌아온다.

스님에 대한예절
1) 스님은 삼보 가운데 승보이며 모든 이의 복전이 되므로 공경스런 마음으로 귀의해야 한다.
2) 사찰이나 길에서 스님(어린스님, 낯선스님)을 만나면 공손한 자세로 합장하고 인사드린다.
3) 어른스님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것이 아니며 스님에 관하여 말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4) 스님께 여쭐것이 있으면 찾아 뵙고 공손히 물어야 한다.
5) 스님의 방에 출입할때는 노크하고 자신의 이름을 밝힌 다음 들어간다.
6) 스님의 수행생활에 필요한 음식 의복 의약 방사등을 공양한다.

 

 

(1) 통도사(불보사찰)
이 사찰은 신라 27대 선덕여왕 14년(서기 646)에 자장 율사 스님에 의해 창건되었으며
경남 양산군 영축산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 곳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신사리와 가사가 모셔져 있고,
대웅전에는 불상이 없으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하여 모든 중생을 구제한다는 뜻에서 통도사라고 합니다.

(2) 해인사(법보사찰)
이 사찰은 신라 40대 애장왕 3년(서기 802)에 순응,이정 두 스님이 창건하였으며
경남 합천군 가야산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팔만대장경을 모시고 있으므로 법보사찰로 받들고 있고,
해인이란 부처님의 드넓은 지혜의 바다에 모든 진리가 드러난다는 해인삼매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3) 송광사(승보사찰)
이 사찰은 신라 말엽에 해린 스님이 창건하였으며 전남 승주군 조계산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예부터 수행을 많이 쌓은 고승대덕 스님들이 많이 배출된 사찰로 특히 고려시대 보조국사 이후 열여섯 분의 국사(國師)가 수행하시던 곳이기도 합니다.

 

천도재(薦度齋)
죽음과 관련한 불교의례를 천도재라 합니다.
죽은 사람을 위하여 불교에서 올리는 재례의식들의 총칭으로 수륙재나 49재, 영산재 등이 모두 천도재에
속합니다. 모든 악업이나 원한관계를 해소하고 청정한 마음을 회복하여 좋은 곳에서 태어나도록 돕는다는
의미입니다.

49재(四十九齋)
지장경에 의하면 죽은 뒤에 극락세계로 바로 왕생하는 아주 선한 사람이나 바로 지옥으로 떨어지는
극악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다음 생을 받을 때까지 중간적 존재인 중음신으로 49일 동안
떠돌게 된다고 합니다.
49일이 지나면 생전에 지은 업에 따라 다음 생을 받게 되는데, 이 기간동안에 유가족이 영가를 위해
공덕을 지으면 영가가 하늘세계나 인간세계 등 좋은 곳에 태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영가가 좋은 곳으로 잘 건너가도록 인도해 주는 것을 영가천도라 합니다.